본문 바로가기

칼럼

1444년 한글 찬반논쟁, 왕의 숨은 의도와 최만리의 사명

‘한글창제 목적’ 후대에 전하려… 최만리와 의도 된 ‘찬반논쟁’

 

최만리는 과연 설득되었을까? 1444년 2월 20일 세종과 최만리 사이에 벌어진 ‘한글 찬반논쟁’은 세종실록 전체에서 매우 특이한 기록이다. 이날 실록은 최만리 등 집현전 노장파들의 상소로 시작된다. 세종은 경복궁 사정전으로 최만리 등을 불러 그 상소를 읽게 한 다음 대화를 나눴다. 말이 대화이지 왕의 힐책에 가까웠다. 마치 축조심의(逐條審議)를 하듯이 세종은 상소문의 구절구절을 들어 비판했다.

 

우선 세종은 문자라는 게 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지를 물었다. 중국의 한자나 설총의 이두까지도 모두 백성을 편리하게(便民) 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편민(便民)’이라는 단어를 세 번이나 반복하면서 공부의 목적은 ‘백성들의 삶의 질 향상’에 있음을 역설했다. 명나라에 사대(事大)하는 것 역시 궁극적으로 백성의 생생지락(生生之樂), 즉 모두가 안정되고 즐거운 삶을 살게 하기 위함이라는 게 세종의 주장이었다.

 

최만리의 대응 역시 만만치 않았다. “군왕이 새롭고 기이한 기예에 빠져 있다고 비난하는 말은 너무 심한 것 아니냐”는 왕의 나무람에 대해서 그는 일단 사과했다. 하지만 그는 곧 설총의 이두와 언문의 차이점을 짚고, 언문은 이두와 달리 아주 새로운 글자 형상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라고 반박했다. 세자가 언문작업에 시간을 허비하는 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흥미로운 것은 최만리 반대 상소의 요체에 대해서는 왕이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글 창제는 ‘문명의 큰 흠절’이며 ‘대국을 섬기고 중화를 사모하는 데 부끄러움’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 세종은 언급을 삼갔다. 왜 그랬을까? 아마도 세종은 그런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과 논쟁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한 듯하다. 명나라에 지성사대하는 이유를 ‘중화문명을 따라 배워 그들과 비슷해지기 위함’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게 사대의 진정한 목적은 국가이익과 백성의 복지라고 백날 말해도 소용없다고 본 것이다.

 

정창손의 비꼼, 즉 “‘삼강행실도’를 보급한 후에도 충신, 효자, 열녀의 무리가 나오지 않고 있다”는 말에 대해 세종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용속한 선비’라며 진노한 것은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선비가 글을 배워 나랏일을 하는 것은 ‘나라의 근본’인 백성을 깨우쳐 올바른 길을 가도록 인도하기 위함인데, ‘백성에게 문자를 만들어 주어도 자질이 안 되기에 아무 소용없다’는 태도는 배우는 자의 본분을 망각한 것이라고 본 것이다.

 

그런데 이 대화 또는 힐책을 들었던 최만리는 과연 어떤 생각을 했을까? 세종으로부터 ‘내 뜻을 환히 아는(灼知予意) 사람’이라는 평을 들은 최만리는 세종의 주장, 즉 공부의 진정한 목적은 백성을 편리하게 하는 길을 찾는 데 있으며, 구성원 모두가 신명 나게 살아가는 나라가 진정한 문명국이라는 ‘세종의 뜻’을 받아들였을까? 내가 보기에 최만리는 세종의 숨은 의도를 꿰뚫고 구현한 사람이었다. 그는 한글이 세계 문명사에 끼칠 영향, 새로운 문자의 장점과 그 위험성, 그리고 명나라와의 외교갈등 등을 조목조목 글로 써서 드러내는 임무를 맡았다.

 

세종은 그를 불러 상소의 내용 하나하나를 읽게 했고, 사관이 모든 대화를 기록하는 가운데 왕 자신의 의도와 신하들의 반대 논리를 ‘폭로’하게 만들었다.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해 놓으면 후대 누군가가 바르게 평가하지 않겠는가 하는 믿음을 가지고 말이다. 최만리는 그런 세종의 뜻을 이해하고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한 것이다. 만약 ‘언문은 야비하고 상스럽고 무익한 글자’이며 ‘문명의 큰 흠절’이라고 진심으로 믿었다면 아마도 그는 불교비판 때처럼 지속적이고 가열 차게 반대 상소를 올리지 않았을까? 그랬다면 사정전에서의 대화를 끝으로 고향으로 돌아가 편안한 여생을 맞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여주대 세종리더십연구소장 박현모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81401032415000001